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네이버(NAVER)의 주가전망과 주식시세

by 고니의 경제주식 2020. 4. 2.
반응형



대형주 주가 분석에서 제일 중요한 것인 앞으로의 기업의 발전 가능성과 실적 상승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그런 정보를 개인이 접근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런 정보들이 언론을 통해 발표가 된다면 그 이전에 외국인이나 기관은 벌써 진입하고 뉴스에 따라서 사는 개미들은 상투에서 진입할 공산이 큽니다.

하지만 대형주의 경우 차트는 거짓말을 하기가 어렵습니다. 위에서 말한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차트에 그대로 녹아 있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저는 차트 위주로 장기투자보다는 중기 투자 정도로 차트 설명과 더불어 나름대로의 앞으로의 전망과 주가 방향에 대해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중요한 것은 전망과 주가보다는 차트라는 도구를 통해 주가가 움직이는 원리나 차트를 이해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제가 언급하는 내용은 제 개인적인 견해에 불과하니, 참고사항 정도로만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모든 투자의 판단은 본인의 몫입니다.


웹툰, 콘텐츠 관련주  네이버(NAVER)의 주가전망과 주식시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업개요

당사는 국내 1위 인터넷 검색 포털 '네이버(NAVER)'와 글로벌 모바일 메신저 '라인(LINE)' 등을 서비스하고 있음.

인터넷 서비스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광고, 동영상 광고 등 광고 사업, 검색과 쇼핑 등 비즈니스 플랫폼 사업, 네이버페이, 클라우드, 라인웍스 등 IT플랫폼 사업, 웹툰, 뮤직 등 콘텐츠 서비스 사업 등을 함.

지배회사인 네이버를 제외하고 동사에 속한 종속기업은 2019년 9월말 기준으로 38개사임.





네이버(NAVER)는 2019년 매출 6조 5000억,영업이익 7100억원,당기순이익 3900억원에서 2020년(예상치) 매출 7조 4000억원, 영업이익 1조원, 당기순이익 7800억원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네이버(NAVER)의 일봉차트입니다. 지지선 저항선을 그어보면 위와 같습니다.

상대적으로 네이버(NAVER)는 코로나19의 영향을 덜 받은 내수주라서 하락폭이 다른 종목에 비해서 덜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서 네이버 웹사이트나 기타 온라인 서비스를 사용빈도가 줄어들 이유가 없었으니깐요..


코로나19로 인한 시장위험으로 폭락했다가 현재는 2번지 지선에서 반등해서 1번 저항선에 거의 닿기 일보 직전입니다.


제가 보기에는 웬만한 호재가 아닌 한 1번 저항선을 한 번에 뚫기 힘들고, 옆으로 횡보하거나, 밑으로 좀 하락하고 반등하기를 몇 번 반복했다가 1번 저항선을 뚫고 올라갈 것 같습니다.




그래서 현재는 네이버(NAVER) 주식 매수 타이밍이 아니라고 보입니다.. 만약에 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 세로 2번 지지선까지 내려온다면 매수를 고려해볼 만합니다.. 2번 지지선에서 50프로 정도 매수하고 3번지 지선에서 30프로 추가 매수 전략이 나을 듯 보입니다.

지금은 먹어봐야 별로 먹을 것이 없네요... 지금 주변에 맛있는 것이 쫙 깔렸는데 올라갈 때까지 간 네이버를 굳이 매수할 이유는 없을 것 같습니다.. 물론 코로나19가 어느 정도 진전된다면 지금보다는 더 높은 가격으로 갈 것이 확실하지만,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는 종목이 많은데 굳이 네이버를 매매할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지금 네이버(NAVER)를 매수한 분들은 2번 저항선 자리에서 절반 정도 매도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맞고 내려갈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하여튼 네이버(NAVER)가 코로나19에 영향을 제일 적게 받는 종목이긴 하지만, 그런 만큼 반등도 엄청나게 많이 된 상태입니다... 굳이 아주 장기로 보고, 안정성이 최고 투자 원칙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조금 내려온 뒤 매수하셔도 됩니다... 네이버(NAVER)의 현재의 가치는 전 고점을 충분히 뚫을 수 있는 힘과 가능성은 있다고 봅니다.. 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이 어느 정도 진정된다는 전제에서...




웹툰, 콘텐츠 관련주  네이버(NAVER)의 주가전망과 주식시세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