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엔비디아 주가 폭등하는 것 보면 바벨탑이 생각납니다. 벌써 밸류에이션은 애플의 2배 정도입니다. 즉 순이익 대비 주가가 애플의 두배인 per 60배 쯤 됩니다. 혹자는 향후 ai 반도체의 수익이 더 많아져서 이런 고밸류에이션은 정당화 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주식 투자자들은 전부 이성적으로 밸류에이션에 맞게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때론 인간적인 심리에 의해서 좌우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글로벌 악재등이 발생하면 투자자들은 주식을 팔게 되고 급등한 주식들은 거의 대부분 하단 지지선까지 내려오게 되어 있습니다. 왜냐하면 급등한 주식은 중간애 매물을 받아줄 지지선이 없기 때문입니다.
지금 외국 유명한 투자가들이 엔비디아를 매수하는 이유는 그들은 저점에 엔비디아 주식을 매집해두고 좀 더 수익을 극대화 시키기 위함이지. 밸류에이션의 투자 매력이 있어서가 아닙니다.
개인투자자들이 현재 엔비디아 주식을 매수하는 가장 큰 이유는 포모현상때문입니다. 남들은 엔비디아로 수익을 얻고 있는데 나만 소외된다는 원인 모를 불안감 때문입니다. 전형적인 주식 초짜들의 심리입니다. 벌써 사회전반에 주식에 대한 포모현상이 존재한다면 상투가 멀지 않았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반응형
'주식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 주가 전망과 FSD 로보 택시 인간형 로봇등의 미래 성장 전략 (1) | 2024.07.08 |
---|---|
주식정보제공 리딩방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신뢰 업체의 기준 (0) | 2024.07.07 |
데이트레이딩 (단타)의 증가와 가치 장기 투자의 장점 (0) | 2024.06.18 |
2차전지 양극재 관련주 에코프로비엠 주가전망 (0) | 2024.06.17 |
동해 석유가스전 관련 급등한 한국가스공사 주가전망 (0) | 2024.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