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정보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가 편리한 이유

by 고니의 경제주식 2020. 1. 27.
반응형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가 편리한 이유


어디선가 검색엔진 상위 노출을 위해서는 맞춤법이 정확해야 한다는 글을 본 적이 있다.

정확한 정보인지는 모르겠지만, 맞춤법 정확하게 해서 나쁠 것은 없지 않겠나라고 생각해서
네이버 맞춤법 검사를 해보았다..
기존에 다른 검사기는 검사를 하면 한꺼번에 바뀌는 것이 아니라 글자 한자씩 선택하면서 수정해야 할 것인지, 수정하지 말아야 할 것인지 일일이 선택해주어야 해서 여간 귀찮은 게 아니었다.. 시간도 많이 허비되기도 하고, 그런데 이번에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를 실행해보니 클릭 한 번으로 전부 바뀌게 해주고 ,바뀐 부분을 맞춤법이 틀린 건지, 띄어쓰기가 잘못된 것인지, 표준어가 아닌지 색상으로 표현해주는 기능이 있어서 아주 편리하게 바뀌었다..

네이버에서 맞춤법 검사기로 검색하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 번에 검사할 수 있는 글자 수는 500자이다... 글자 수가 많으면 나누어서 검사하면 될 것이다..

글자를 복사, 붙여넣기를 하고 밑에 검사하기를 클릭하면 우측에 검사 완료된 내용이 표시된다.

다른 검사기는 개별적으로 수정할지 말지를 선택해주어야 하는데 .이건 한꺼번에 일단 바꾸게 해주어서 아주 편리하게 바뀌어 저 있다..



 

위와 같은 식으로 결과 페이지 내에 바꾸어진 내용이 종류에 따라서 글자 색상이 표현되어 있다.

몇 번 하다 보니 유의해야 할 부분이 빨간색으로 바뀐 표준어나 맞춤법 부분이 글과 전혀 맞지 않게 수정된 경우가 몇 번 포착되었다.... 초록 핵 부분은 거의 재수정 할 필요는 거의 없고, 빨간색 부분만 다시 한번 재검토하면 될 것 같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