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전기차 충전소 관련주 ,휴맥스 대유플러스 디스플레이텍 원익피앤이 윌링스 주가

by 고니의 경제주식 2021. 9. 6.
반응형

친환경 전기차 충전소 테마 관련주

  휴맥스 028080 대유플러스 000300 디스플레이텍 066670 원익피앤이 131390 윌링스 313760

내년부터 신축 아파트가 아닌 이미 지어진 기축 아파트에도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의무적으로 설치됩니다. 또한 전기차 충전을 위해 주차장에 마련된 전용구역에서 일반 승용차의 주차 금지 및 충전 방해 행위에 대한 과태료 부과 등을 포함한 단속도 강화됩니다. 이에 따라 전기차 소유자들의 편의성도 대폭 확대될 전망입니다.

 

향후 전기차 시대는 거스를수 없는 대세입니다. 세계는 지급 기후변화를 겪고 있어서 탄소배출량을 줄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자동차 회사들은 10년후에는 전기차,수소차등 친환경차만 생산할 계획이라는 이야기 마저 하고 있습 상황입니다. 하지만 지금의 전기차 확대를 막는 최고의 장애물은 전기차 충전시설입니다. 이런 부분을 인지하고 있는 정부에서 드디어 과감한 전기차 충전시설 정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향후에 이런 정책들은 더욱더 가속화 되고,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기차 충전소 관련 기업들의 주가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기차 충전소 관련주들이 어떤 주식이 있는지 알아보고, 실력이 괞찮은 종목들 위주로 알아보겠습니다.

 

 

대유플러스

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알루미늄휠, 스터어링휠의 주문자 상표부착 생산에 종사하는 한국 기반 회사입니다. 회사의 주요 고객은 현대자동차, 한국지엠, 기아자동차 등입니다.

전기차 충전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곧 SK그룹에 인수되는 기업과 협업한다는 소식이 들여와서 관련주로 묶여습니다.

2020년 영업이익율 3.2%/ 순이익 -57억원

 

윌링스

2003년 08월 21일 전력변환장치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전력변환기술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업입니다.

윌링스는 마트 주차장에서 2~3시간 충전하는 전기차 충전기 모델을 연내 상용화할 계획입니다.

2020년 영업이익율 0%/ 순이익 3억원

 

 

원익피앤이

주로 이차전지 가공 설비를 제조하는 한국 기반 회사입니다. 회사는 전지 활성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활성화, 전지 모듈 어셈블리, 전지 모듈 어셈블리 검사 장비와 같은 활성화 장비, 전지 충방전기, 모듈 검사기, 전지 관리 시스템 시뮬레이터 등과 같은 개발 시스템을 생산합니다. 또한, 회사는 발전기의 전압 출력을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 위상제어 정류회로와 같은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합니다.

자회사 피앤이시스템즈를 통해 전기차 충전기를 생산하며 수혜주로 떠올랐다.피앤이시스템즈는 전기차 급·완속 충전기, ESS, 승용차용 배터리팩 등을 생산합니다.

2020년 영업이익율 16%/ 순이익 187억원

 

휴맥스

전자장비 개발 시스템 및 영상처리시스템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회사로 현재 게이트웨이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국내 급속충전 시장 70%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대영채비에 투자하고 있는점이 부각되면서 수혜주로 떠올랐습니다

2020년 영업이익율 1.5%/ 순이익 -874억원

 

 

디스플레이텍

LCD 모듈 등의 기술 개발, 제조 및 판매하는 업체로 모바일용 Display Module 뿐만 아니라 생활의 중심의 첨단 디지털 제품의 토탈 디스플레이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대차가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경영권 인수를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디스플레이텍이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서 수혜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2020년 영업이익율 9.3%/ 순이익 38억원


전기차 충전소 관련주는 누가 바도 성장매력이 있는 종목군입니다. 향후 충전소 문제는 자주 뉴스에 언급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럴때마다 관련주들은 널뛰기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폭등할때 들어가기 보다는 하단 지지선에서 매수하는 전략이 유효할듯 싶습니다. 현재 뉴스에 오르락거려서 폭등한 종목도 몇개 있습니다. 지금 진입하기 보다는 흥분이 식혀진뒤체 밑으로 조정 받을때 분할매수하는게 낫다고 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