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430 주식정보제공 리딩방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신뢰 업체의 기준 요즘 주식 리딩방이 뉴스에 오르락 내리락하고 있습니다. 사기당했다는 뉴스가 많이 뜹니다. 리딩방은 내가 경험해본바로는 장점도 많고 단점도 많은게 현실입니다. 저도 차트나 주식에 대한 흐름을 리딩방을 통해서 경험하고 배우기도 했습니다. 문제는 워낙 사기성이 농후한 리딩방이 많은게 문제이겠지요..그래서 어떤 리딩방을 골라야 되는지를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주식을 한다면 리딩방의 공격적인 마케팅에 안하고는 못배기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저렴한 비용으로 언젠가는 한번 경험해 보는 것이 맞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1. 주식 리딩방의 문제점 내부 거래와 물량 떠넘기기: 일부 리딩방은 운영자가 미리 주식을 매수한 후 회원들에게 추천하여 주가를 인위적으로 올린 후 본인들이 먼저 매도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과도한.. 2024. 7. 7. 정년 연장의 문제와 청년 양질 일자리 -20-30대 애들은 양질의 일자리가 없어 취직도 안하고 결혼도 안하고 그냥 부모밑에서 놀고 먹고 하는 시대로 만들어 놓고 뭔 결혼을 해서 애를 낳고 집을 사서 살라고 하는건지 일단 젊은 세대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해야지 순 알바나 비정규직 최저임금자리나 들어가서 열정페이 이런말하고 자빠져있는 기득권들 으이그 한심하다 -내 나이가 올해 몇 인 줄 알아?? 소리가 벌써부터 귀에 아른거린다...ㅎㅎ;; 뭐 사회적응이 된 어르신들은 일자리 마련할 수 있으면 사회적으로 생산성도 높일 수 있고 고용효과도 있고 좋긴 좋지~ 아직도 농경시대 집성촌 문화를 버리지 못해서 (나이=계급)이라 생각하는 양반들이 제법 돼서 글치.. 아마 당분간의 과도기는 필요하리라.. -외노자 포지션으로 늙은이들 돌리면 된다. 어짜피 3.. 2024. 7. 1. 저출산문제, 중소기업 기피 현상, 지방소멸에 관한 다큐멘터리의 답글 저출산문제, 중소기업 기피 현상, 그리고 지방소멸에 관한 대한민국 현실에 대한 다큐멘터리에 달린 네티즌들의 답글들입니다. 물론 생각과 결론이 다를 수 있지만 중소기업과 대한민국에서 각자가 접하는 현실은 너무 다양할 겁니다. 오히려 한가지 정답을 확정할 수는 업는 문제인것 같습니다. 이것을 접하는 사람들은 나와는 다른 현실이 존재함을 느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야 나와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니깐요. -애시당초 직업의 귀천을 나눠서 대기업의 화이트칼라 아니면 대접못받는 사회를 만들어 놨는데 누굴탓하랴..그리고 노동자를 벌레보듯하는 국가의 인식이 만든 처참한 결과가 아니겠나..기본적으로 인간에 대한 예의가 이 나라에는 없다..그래서 미래가 없는거다 -그렇게 만든게 아니라 걔들이 달러 많이 버는 고부가.. 2024. 7. 1. 워라밸과 주 4일제 전면 시행에 필요한 전제 조건들 물론 워라밸이 직원의 창의성을 발현하는 좋은 방법임은 부인하지는 않고, 미래의 우리의 기업문화도 주 4일제로 변화하고 워라밸을 추구해야 하는 당위성에 대해서는 찬성한다. 하지만 현실을 무시한 네덜란드 문화의 무분별한 추종은 오히려 기업이나 직원에게 독이 될 수가 있다. 저런 주 4일제가 싱행하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업종은 연구직이나 화이트칼라 직종이 있다. 하지만 생산을 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노동시간의 투여가 필요한 생산직의 경우는 당장 도입하기가 무리가 있다. 가령 대한민국 제조업은 영업이익률이 5%이하가 많다. 그런데 주4일에 임금을 그대로 준다면 회사는 추가로 직원을 고용하고 임금을 추가로 부담하여야 한다.. 남는게 거의 없는 상황에서 추가 비용 소요는 기업의 존립 자체를 힘들게 한다... 2024. 6. 18. 이전 1 2 3 4 5 6 7 8 ··· 10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