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04 정년 연장의 문제와 청년 양질 일자리 -20-30대 애들은 양질의 일자리가 없어 취직도 안하고 결혼도 안하고 그냥 부모밑에서 놀고 먹고 하는 시대로 만들어 놓고 뭔 결혼을 해서 애를 낳고 집을 사서 살라고 하는건지 일단 젊은 세대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해야지 순 알바나 비정규직 최저임금자리나 들어가서 열정페이 이런말하고 자빠져있는 기득권들 으이그 한심하다 -내 나이가 올해 몇 인 줄 알아?? 소리가 벌써부터 귀에 아른거린다...ㅎㅎ;; 뭐 사회적응이 된 어르신들은 일자리 마련할 수 있으면 사회적으로 생산성도 높일 수 있고 고용효과도 있고 좋긴 좋지~ 아직도 농경시대 집성촌 문화를 버리지 못해서 (나이=계급)이라 생각하는 양반들이 제법 돼서 글치.. 아마 당분간의 과도기는 필요하리라.. -외노자 포지션으로 늙은이들 돌리면 된다. 어짜피 3.. 2024. 7. 1. 저출산문제, 중소기업 기피 현상, 지방소멸에 관한 다큐멘터리의 답글 저출산문제, 중소기업 기피 현상, 그리고 지방소멸에 관한 대한민국 현실에 대한 다큐멘터리에 달린 네티즌들의 답글들입니다. 물론 생각과 결론이 다를 수 있지만 중소기업과 대한민국에서 각자가 접하는 현실은 너무 다양할 겁니다. 오히려 한가지 정답을 확정할 수는 업는 문제인것 같습니다. 이것을 접하는 사람들은 나와는 다른 현실이 존재함을 느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야 나와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니깐요. -애시당초 직업의 귀천을 나눠서 대기업의 화이트칼라 아니면 대접못받는 사회를 만들어 놨는데 누굴탓하랴..그리고 노동자를 벌레보듯하는 국가의 인식이 만든 처참한 결과가 아니겠나..기본적으로 인간에 대한 예의가 이 나라에는 없다..그래서 미래가 없는거다 -그렇게 만든게 아니라 걔들이 달러 많이 버는 고부가.. 2024. 7. 1. 워라밸과 주 4일제 전면 시행에 필요한 전제 조건들 물론 워라밸이 직원의 창의성을 발현하는 좋은 방법임은 부인하지는 않고, 미래의 우리의 기업문화도 주 4일제로 변화하고 워라밸을 추구해야 하는 당위성에 대해서는 찬성한다. 하지만 현실을 무시한 네덜란드 문화의 무분별한 추종은 오히려 기업이나 직원에게 독이 될 수가 있다. 저런 주 4일제가 싱행하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업종은 연구직이나 화이트칼라 직종이 있다. 하지만 생산을 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노동시간의 투여가 필요한 생산직의 경우는 당장 도입하기가 무리가 있다. 가령 대한민국 제조업은 영업이익률이 5%이하가 많다. 그런데 주4일에 임금을 그대로 준다면 회사는 추가로 직원을 고용하고 임금을 추가로 부담하여야 한다.. 남는게 거의 없는 상황에서 추가 비용 소요는 기업의 존립 자체를 힘들게 한다... 2024. 6. 18. 엔비디아 주식 국내투자증가와 주가전망 엔비디아 주가 폭등하는 것 보면 바벨탑이 생각납니다. 벌써 밸류에이션은 애플의 2배 정도입니다. 즉 순이익 대비 주가가 애플의 두배인 per 60배 쯤 됩니다. 혹자는 향후 ai 반도체의 수익이 더 많아져서 이런 고밸류에이션은 정당화 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주식 투자자들은 전부 이성적으로 밸류에이션에 맞게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때론 인간적인 심리에 의해서 좌우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글로벌 악재등이 발생하면 투자자들은 주식을 팔게 되고 급등한 주식들은 거의 대부분 하단 지지선까지 내려오게 되어 있습니다. 왜냐하면 급등한 주식은 중간애 매물을 받아줄 지지선이 없기 때문입니다. 지금 외국 유명한 투자가들이 엔비디아를 매수하는 이유는 그들은 저점에 엔비디아 주식을 매집해두고 좀 더 수익을 극대화 .. 2024. 6. 18. 이전 1 ··· 3 4 5 6 7 8 9 ··· 201 다음 반응형